기술

지진(地震)의 하중계산기준(荷重計算基準)

coc 2022. 1. 3. 02:10
728x90
반응형

* 지진(地震)의 하중계산기준(荷重計算基準)

 

지진(地震)의 기준수평진도(基準水平震度)

구분(區分) 수평진도(水平震度)
건축물
(建築物)
높이 16m 이하(以下)의 부분(部分) 0.2 이상(以上)
높이 16m 이상(以上)의 부분(部分) 높이 4m 증가(增加)마다
0.1를 가().
연약지반구역(軟弱地盤區域)의 목조건축물
(木造建築物)
0.3 이상(以上)
독립(獨立)굴뚝, 옥상돌출(屋上突出) 굴뚝
또는 수조(水槽)
0.3 이상(以上)

(Note) 1. 독립(獨立)굴뚝 기초(基礎)의 전도(轉倒)에 대해서는 수평진도(水平震度)

             0.2까지 감()해도 된다.

         2. 다설구역(多雪區域)에서는 수평진도(水平震度)에 적설하중(積雪荷重)

            고려한다.

         3. 높이 45m를 넘는 건물(建物)은 상기 표(上記 表)에 의하지 않고 특별한

            계산(計算)에 따를 수가 있다.

 

지진수평진도(地震水平震度)의 저감기준(低減基準) (日本 建設省 告示 參考)

  수평진도(水平震度)의 저감(低減)은 건축구조(建築構造), 지반종류(地盤種類)

  기왕의 진해기록(震害記錄)에 의해 위험(危險)이 작다고 인정(認定)되면 저감

  (低減)할 수 있다.

 

지진(地震)과 구조별(構造別)에 따른 비율(比率)

구조별(構造別) 목조(木造)
철구조(鐵構造)
철근콘크리트구조
(鐵筋concrete構造)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
(鐵骨鐵筋concrete構造)
철골콘크리트구조
(鐵骨concrete構造)
기타 구조
(其他 構造)
1종 지반
(1種 地盤)
60 % 80 % 100 %
2종 지반
(2種 地盤)
80 % 90 % 100 %
기타 지반
(其他 地盤)
100 % 100 % 100 %

(Note) 지반(地盤)이 건축물(建築物)의 주위(周圍)를 상당한 범위(範圍)에 걸쳐서

         제1(1) : 암반(巖盤), 경질사력층(硬質砂礫層), 기타(其他) ()

                            제2기층(2紀層)으로 구성(構成)된 것

         제2(2) : 사력층(砂礫層), 모래혼합경징점토층, 로움층(loam), 기타(其他)

                            주()로 홍적층(洪積層)으로 구성(構成)된 것 또는 대략 두께

                             (thickness) 5m 이상(以上)의 자갈층(gravel stratum) 또는

                             사력층(砂礫層)으로 구성(構成)된 것

 

지방별(地方別)에 따른 비율(比率)

   지방별(地方別)에 따른 비율(比率)은 보통(普通) 80%~100%

 

설계용(設計用)의 수평지진(水平地震)

  건축물(建築物)의 설계용진도(設計用震度)는 수평지진(水平地震) = 기준진도(基準震度) × 지반(地盤)

  구조별(構造別)에 따른 비율(比率) × 지방별(地方別)에 따른 비율(比率)

  단, 지반(地盤)과 구조별(構造別)에 따른 비율(比率) × 지방별(地方別)에 따른 비율(比率)50% 이하

      以下)일 때는 50%까지 인상(引上)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