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KEPIC & ASME NOG-1 Code의 크레인 지진하중 계산 방식 비교

coc 2025. 2. 10. 20:07
728x90
반응형
구분 KEPIC ASME NOG-1 Remarks
기준의
출처
* KEPIC (Korea Electric Power
Industry Code) : 전력산업기술기준


* KEPIC은 한국 전력산업의 요구에
맞춰 개발된 국내 기준임.

* ASME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미국기계학회


* ASME NOG-1은 미국기계학회
(ASME)에서 발행한 오버헤드크레인
및 갠트리크레인 관련 기준임.

적용범위 * KEPIC은 한국의 전력산업을 위한
기술기준이며, 원자력발전소를
포함한 다양한 전력설비와 기기의
안전성과 신뢰성 및 품질확보를
위해 설계, 제작, 시공, 검사 등에
대한 방법과 절차를 규정한 지침을
제공함.
특히 KEPIC-SN(원자력 구조)
분야에서 크레인과 같은 구조물의
지진하중평가를 다룸
* ASME NOG-1은 원자력시설에서 사용
되는 상부 주행 브리지와 트롤 리가 있는
전기 오버헤드크레인 및 갠트리 다중
거더크레인(탑 러닝 브리지, 멀티플 거더)
구성요소들의 설계 및 제작에 적용되는
기준임.








지진하중
계산
* KEPIC은 구조물의 내진설계를
위해 지진해석 및 내진성능 평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함.


* 구체적인 계산식은 구조물의 특성,
지반조건, 그리고 지역의 지진
위험도에 따라 결정됨.
일반적으로 응답스펙트럼 해석이나
시간이력 해석을 통해 구조물의
지진응답을 평가하며, 이를 기반
으로 지진하중을 산출함.
* ASME NOG-1은 크레인의 동적
거동을 고려하여 지진하중을 평가함.


* 구체적인 계산식은 크레인의 고유
진동수, 감쇠비율, 그리고 지역의
설계응답스펙트럼에 따라 결정됨.
일반적으로 응답스펙트럼 해석을
통해 크레인의 최대응답을 산출하며,
이를 기반으로 지진하중을 계산함.




지진하중
평가법
* 두 기준 모두 응답스펙트럼 해석을 통해 지진하중을 평가하지만, 적용되는
설계응답스펙트럼이나 상세한 계산 절차는 각 기준의 지침에따라 다를 수 있음.


* 원자력발전소 크레인의 지진하중 계산 시에는 해당 시설의 위치, 지진 위험도,
그리고 적용되는 설계 기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적절한 기준을 선택하고
적용. 평가하는 것이 중요함.

지역적
특성 반영
* KEPIC은 한국의 지진환경과 전력산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 되었으므로,
국내 적용 시에는 KEPIC 기준을 따르는 겄이 일반적임.
 

 (Referred to KEPIC, ASME NOG-1)